onkeyup="this.value=this.value.replace(/[^0-9]/g,'')"
'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ABLE 응용 기초 TR TD TH (0) | 2014.02.04 |
---|
onkeyup="this.value=this.value.replace(/[^0-9]/g,'')"
TABLE 응용 기초 TR TD TH (0) | 2014.02.04 |
---|
<TABLE> ━ 테이블의 시작
<CAPTION> 테이블의 제목-표의 바깥쪽 위에 위치함 </CAPTION>
<TH> 각항의 제목-표의 안쪽 맨 위에 위치함 </TH>
<TR> ━ 테이블속의 경계선(줄바꾸기 태그라고 생각하면 됨!)
<TD> 각항의 내용 </TD>
<TR> ━ 줄바꿈
</TABLE> ━테이블의 끝
위의 것을 그대로 적용을 한다면 아래와 같은 형태가 됩니다.
<TABLE border="1">
<CAPTION> 테이블의 제목-표의 바깥쪽 위에 위치함 </CAPTION>
<TH> 각항의 제목-표의 안쪽 맨 위에 위치함 </TH>
<TR>
<TD> 각항의 내용 </TD>
</TR>
</TABLE>실행화면
테이블의 제목-표의 바깥쪽 위에 위치함 각항의 제목-표의 안쪽 맨 위에 위치함 각항의 내용
어딘가 모르게 보기에 안좋지요?이제부터는 테이블을 다듬는 태그를 설명해 보겠습니다.
<TABLE BORDER="수치">테이블의 구분선 두께를 나타냄."0"으로표시하면 선이 보이질 않음.
<TABLE WIDTH="넓이"> 테이블의 가로 넓이수치(픽셀단위).
<TABLE HEIGHT="높이"> 테이블의 높이를 나타내는 숫자(픽셀단위)
<TABLE BGCOLOR="색상"> 테이블의 배경색을 지정함! 예:"WHITE"또는 흰색의 색상코드인"#FFFFFF"로도 표시 함. 검은색인 경우는 "BLACK" 또는, "#000000"으로 표시.
<TABLE BORDERCOLOR="색상"> 테이블구분선의 색상.
<TABLE BACKGROUND="배경이미지주소">테이블에 배경이미지를 넣습니다.
<TABLE CELLPADDING="값"> 이것은 항(cell-칸)과 내용(글 또는 그림...) 사이의 여백을 지정합니다. 초기값은 1입니다.
<TABLE CELLSPACING="값"> 이것은 각 항(cell-칸과 칸)사이의 공간을 설정합니다. 초기값은 2입니다.
<TD ALIGN="수평위치">왼쪽(LEFT),중앙(CENTER), 오른쪽(RIGHT)으로 정열시킵니다. </TD>
<TH ALIGN="수평위치"> 왼쪽(LEFT),중앙(CENTER), 오른쪽(RIGHT)으로 정열시킵니다. </TH>
<TH VALIGN="수직위치">위(TOP),중앙(MIDDLE), 아래(BOTTOM)으로 정열시킵니다. </TH>
<TD VALIGN="수직위치">위(TOP),중앙(MIDDLE), 아래(BOTTOM)으로 정열시킵니다. </TD>
<TD WIDTH="수치"> 테이블안의 행의 넓이지정 </TD>
<TD HEIGHT="수치"> 테이블안의 행의헤더 넓이지정 </TD>
<TH WIDTH="수치"> 테이블안의 행의 헤더 높이지정 </TH>
<TH HEIGHT="수치"> 테이블안의 행의 높이지정 </TH>
<TH ROWSPAN="수치"> 테이블안의 세로로늘어지는 셀갯수 </TH>
<TD ROWSPAN="수치"> 테이블안의 세로로늘어지는 셀갯수 </TD>
<TH COLSPAN="수치"> 테이블안의 가로로늘어지는 셀갯수 </TH>
<TD COLSPAN="수치"> 테이블안의 가로로늘어지는 셀갯수 </TD>
<Table width="500" border="0" cellspacing="2" cellpadding="5" bgcolor="#000000" height="200">
<Tr bgcolor="white" align="center">
<Td colspan="3">첫번째줄(3칸합침)</Td>
</Tr>
<Tr align="right" valign="bottom">
<Td bgcolor="red">두번째줄 첫번째칸</Td>
<Td bgcolor="yellow">두번째줄 두번째칸</Td>
<Td bgcolor="green">두번째줄세번째칸</Td>
</Tr>
</Table>실행화면
첫번째줄(3칸합침) 두번째줄 첫번째칸 두번째줄 두번째칸 두번째줄세번째칸
<TABLE BORDER="1" WIDTH="450" BGCOLOR="BLUE" HEIGHT='150' cellspacing='1'>
<TR>
<TD bgcolor='red' width="150" VALIGN='top'> Top </TD>
<TD bgcolor='green' width="150" VALIGN='middle'> Middle </TD>
<TD bgcolor='pink' width="150" VALIGN='bottom'> Bottom </TD>
</TR>
<TR>
<TD bgcolor='white' width="150" ALIGN='left'> Left </TD>
<TD bgcolor='yellow' width="150" ALIGN='center'> Center </TD>
<TD bgcolor='blue' width="150" ALIGN='right'> Right </TD>
</TR>
</TABLE>실행화면
Top Middle Bottom Left Center Right
<TABLE BORDER="1" WIDTH='520' HEIGHT="200" cellspacing="1" cellpadding="1" bgcolor="#0088ff">
<TR>
<TD BACKGROUND="http://gif00.com.ne.kr/image/back1.gif" align='center'> 바탕이미지.1 </TD>
</TR>
<TR>
<TD BACKGROUND="http://gif00.com.ne.kr/image/back2.gif" align='center'> 바탕이미지.2 </TD>
</TR>
<TR>
<TD BACKGROUND="http://gif00.com.ne.kr/image/back3.gif" align='center'> 바탕이미지.3 </TD>
</TR>
<TR>
<TD BACKGROUND="http://gif00.com.ne.kr/image/back4.gif" align='center'> 바탕이미지.4 </TD>
</TR>
</TABLE>실행화면
바탕이미지.1 바탕이미지.2 바탕이미지.3 바탕이미지.4
<TABLE BORDER='5' WIDTH='400' HEIGHT='150' bordercolorlight='yellow' bordercolordark='black'>
<TR>
<TD> 이건디유..테이블 겉의테두리를 보셔유^0^; <TD/>
</TR>
</TABLE>실행화면
이건디유..테이블 겉의테두리를 보셔유^0^;
한 TABLE에 줄 마다 칸수가 다른 TABLE만들기
<TABLE border='1' width='400' cellpadding="0" cellspacing="0" bordercolor="#000000">
<TR>
<TD width='100'>칸.1</TD> <TD width='300' colspan='3'>칸.2</TD>
</TR>
<TR>
<TD width='100'>칸.1-2</TD> <TD width='100'>칸.2-2-1</TD> <TD width='100'>칸.2-2-2</TD> <TD width='100'>칸.2-2-3</TD>
</TR>
<TR>
<TD width='100'>칸.1-3</TD> <TD width='100'>칸.2-3-1</TD> <TD width='100'>칸.2-3-2</TD> <TD width='100'>칸.2-3-3</TD>
</TR>
</TABLE>실행화면
칸.1 칸.2 칸.1-2 칸.2-2-1 칸.2-2-2 칸.2-2-3 칸.1-3 칸.2-3-1 칸.2-3-2 칸.2-3-3 Tip colspan="3"이라고 적으면 바로 아랫줄의 셀 갯수(3)를 지정하는 것이고, rowspan="3"이라고 적으면 아래로 석줄의 셀이 생긴다는 뜻이다.
<TABLE border='1' width='600' cellpadding="0" cellspacing="0" bordercolor="#000000">
<TR>
<TD width='300'>칸.1</TD> <TD width='300' rowspan='3'>칸.2</TD>
</TR>
<TR>
<TD width='300'>칸.1-2</TD>
</TR>
<TR>
<TD width='300'>칸.1-3</TD>
</TR>
</TABLE>실행화면
칸.1 칸.2 칸.1-2 칸.1-3 Tip 자세히 보면 갯수가 늘어질 줄이 아닌 상대편(? 반대편?)에 있는 줄에 "rowspan='셀 갯수'를 적은 것을 볼 수 있다.
<TABLE border='1' width='600' cellpadding="0" cellspacing="0" bordercolor="#000000">
<TR>
<TD width='300' colspan='2'>칸.A</TD> <TD width='300' colspan='2'>칸.B</TD>
</TR>
<TR>
<TD width='150'>칸.A-1-1</TD> <TD width='150'>칸.A-1-2</TD> <TD width='150'>칸.B-1-1</TD> <TD width='150'>칸.B-1-2</TD>
</TR>
<TR>
<TD width='300' colspan='2'>칸.A-2-1</TD> <TD width='300' colspan='2'>칸.B-2-1</TD>
</TR>
<TR>
<TD width='300' colspan='2'>칸.A-3-1</TD> <TD width='300' colspan='2'>칸.B-3-1</TD>
</TR>
</TABLE>실행화면
칸.A 칸.B 칸.A-1-1 칸.A-1-2 칸.B-1-1 칸.B-1-2 칸.A-2-1 칸.B-2-1 칸.A-3-1 칸.B-3-1 Tip 위에서 보다시피 칸을 늘릴 때도 "colspan"을 써 주고 늘어날 갯수를 적어 주지만 그 다음에 늘어난 갯수를 줄일 때도 "colspan='줄어들 셀 갯수' 를 적어준다.
<table width='500' border='1' bordercolor="#000000" cellspacing='0' cellpadding='0'>
<tr>
<td align='center' colspan='2' bgcolor="skyblue">TABLE에 TABLE 넣기</td>
</tr>
<tr>
<td bgcolor="yellow">TABLE의 셀.1</td>
<td rowspan='2'>
<table width='100%' height='100%' border='1' bordercolor="#000000" cellspacing='0' cellpadding='0'>
<tr>
<td bgcolor="red">TD 속 TABLE의 셀.1</td>
</tr>
<tr>
<td bgcolor="red">TD 속 TABLE의 셀.2</td>
</tr>
<tr>
<td bgcolor="red">TD 속 TABLE의 셀.3</td>
</tr>
</table>
</td>
</tr>
<tr>
<td bgcolor="green">TABLE의 셀.2</td>
</tr>
</table>실행화면
TABLE에 TABLE 넣기 TABLE의 셀.1
TD 속 TABLE의 셀.1 TD 속 TABLE의 셀.2 TD 속 TABLE의 셀.3 TABLE의 셀.2 Tip 소스를 보면 알겠지만 테이블 안에 또 다른 테이블을 넣고도 여러가지 효과를 낼 수 있다.
Input 창 숫자만 입력 정규식 익스 크롬 파폭 다됨. (0) | 2015.07.14 |
---|